안녕하세요. 군대 읽어주는 남자군읽남 입니다.
오늘은 육군 전문하사가 어떻게 될 수 있는지,
전문하사 면접, 전문하사 월급, 전문하사 면접, 전문하사 퇴직금
까지 쉽게 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전문하사(임기제부사관) 이란?
전문하사는, 대한민국 국군의 부사관 모집정책으로,
병 생활을 모두 마친 후 임관하는 부사관입니다.
공식명칭은, '임기제부사관'이라고 합니다.
2008년에 복무기간 단축으로 생겼으며,
원래는 6~18개월만 복무가 가능했지만, 명칭을
전문하사에서 '임기제 부사관'으로 변경하면서
48개월까지 선택복무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더 복무를 하고 싶다면,전문하사에서 단기하사로 전환을 해야 합니다.
이건, 병과 to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시험을 한번 더 합격해야 하고
'계약직' 알바 하사 느낌이 아닌 진짜 간부로써의 발을 내딛는 거라고
또한, 자대에 편제가 없다면 다른 부대로 가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전문하사(임기제부사관)가
현역으로 입영해, 병사로 복무하다가
전역 6개월 남은 시점부터 전문하사 신청이 가능해집니다.
다만, 전역하기 1개월이 남은 이후엔 신청을 받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전문하사를 하고 싶다면, 전역 6개월 전 (상병) 때 중대장 및 행보관에게 찾아가서
전문하사를 지원하고 싶다고 말하면, 알아서 해야 될 주면서 처리해 주실 겁니다.
그리고, 전역 전 휴가에 복귀를 해서사단면접과 체력평가를 보게 될 겁니다.
그리고 두 개에서 휴가를 다시 가서 전역 전에 다시 복귀를 해서 임관식을 진행할 겁니다.
이게 부대마다 일정이 달라질 수 있으니,대충 이런 틀이 있구나를 생각하시면 좋을듯합니다.
전문하사 휴가
전문하사에 경우 정기휴가(연가) 같은 경우에는 한 달에 1.75일씩 주어집니다.
그럼, 연간 21일의 휴가를 부여받을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만약에, 연중에 임관 시나 휴가는 반올림 처리가 됩니다.
예를 들어 6개월 복무 시 10.5일이지만, 반올림해서 11일의 연가를 지급해 줍니다.
여기서 간부는 주말이 휴가로 처리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주말을 껴서
목금토일 이라던지, 토일월화를 나가면 연가를 2일만 사용해서 4일을 쉴 수 있습니다.
전문하사 월급 및 퇴직금
현재, 하사 2호봉에 월급은 170만 6,000원입니다.
또한, 추가수당(연장근로 및 떡값 등)을 받으면 그 이상에 월급이 가능합니다.
또한, 병복무기간을 호봉으로 인정해 줘, 하사 2호봉부터 시작하며 하사 7개월 차에 3호봉으로 오르게 됩니다.
호봉은 오르는 대로, 월급에 반영되기 때문에 3호봉 월급이 가능합니다.
3호봉 월급은 현재 173만 5,000원을 주고 있습니다.
명절에는 떡값을 지급해 주는데, 급여 60%를 지급해주고 있습니다.
2호봉 기준으로 1,024,08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금 같은 경우엔 6개월만 복무해도 퇴직금을 지급해 주며,
90만 원가량을 있습니다.
전문하사의 장점
일단, 하사로 임관을 한다는 가정하에 전문하사로 병에서 간부로 넘어가는 방식이
그냥 바로 민간부사관을 하는 거보다 좋냐라고 물을 수 있는데,
우선, 아까도 말했듯 현역병으로 복무하다가 넘어갔기 때문에
부대 적응이나, 주특기 이런 부분에서 크게 공부할 필요도 없이
편안하게 병사들을 대하고, 알려줄 수 있습니다.
만약에 직업군인을 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바로 민간부사관에 지원했을 때,
막상 생각했던 것보다 군대에 적응이 안 되고 마음에 안 들 때
왜냐면, 병사의 신분이 아니기에 책임감이 부여돼서 더 힘들 수 있습니다.
거기다 4년이라는 시간을 복무해야 하기 때문에, 후회하는 간부들 많이 봤습니다.
또한, 군인의 꿈이 아닌, 단순히 돈벌이용으로 하고자 한다면
복학기간이 애매하거나 밖에서 딱히 할만한 아르바이트가 없을 시
전문하사만큼 안정적인 알바도 없죠. 이미 적응한 환경에서 간부로써 일하는 거고
명절이 껴있다면. 돈도 나름 많이 받을 수
여기까지, 전문하사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병사 생활을 마치고, 추가로 군생활을 더하시는 분들은 정말 존경스럽습니다.